을축년 대홍수(乙丑年大洪水)는 1925년 일제강점기 7월 7일부터 9월까지 네 차례에 걸쳐 조선을 덮친 홍수를 말한다.
홍수의 피해 규모 및 영향 범위가 상당하여 '20세기 한반도 최악의 홍수'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다.
1925년 7월 6일부터 15일간 장마를 통해 황해도 이남 한반도에 내린 비가 엄청 났고, 이로 인해 약 두 달 동안 한강, 섬진강, 영산강, 낙동강, 만경강 등 한반도 주요 강이 모두 범람하여 막심한 피해를 입혔다. 실제 이 홍수로 인해 잠실을 비롯한 한강의 유로가 변경되기도 하였고, 홍수 이후 풍납토성과 암사동 선사주거지 등 서울 동부 일대의 문화재가 드러나기도 했다. 조선총독부는 대홍수 이후 재해 기금을 제도화하는 한편 한강을 비롯한 주요 강에 제방을 쌓아 재해에 대비했다. 홍수 발생 [편집] 1925년 7월 7일 대만 부근에서 태풍(2559)이 생성되어 11일과 12일에 한국 중부를 지나갔다. 이로 인해 한강과 금강, 낙동강, 만경강 등의 한반도 중·남부 지역의 강들이 범람하였다. 황해도 이남 지역에 300~500mm의 호우가 내려 한강은 구룡산에서 10.57m의 수위를 나타내었고, 한강, 금강, 만경강, 낙동강 등이 범람하였다.[1] 1차 홍수의 물이 채 빠져나가기도 전인 7월 14일, 대만 부근에 다시 태풍(2560)이 생성되어 중부 지방을 지나갔는데 7월 15일부터 7월 18일까지 4일 동안 650mm 이상의 높은 강우량을 보였다. 연이은 홍수로 인해 한강의 수위는 최대를 기록했고, 제방이 무너지고 범람하여 용산 일대가 물에 잠겼으며 숭례문 앞까지 물이 차올랐다. 서울 시내의 교통과 통신 또한 마비되었다.